환경교육의 기반
1800년대부터 교육학자들은 자연에서의 직접적인 경험이 교육의 효능감 향상을 비롯한 다양한 성과를 가져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1900년대 초 산업혁명 이후 유럽과 북미지역에서는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학교에서 학생들을 다시 자연과 연결시키는 방법으로 자연교육(nature study)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1930 ~ 40 년대 들어서면서 자연을 대하는 방식에 변화가 생겼는데, 천연자원을 남용하는 것이 자연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과 복지에도 심각한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 것이다.
그 결과 국가의 자원을 보호하고, 자연환경과 인간사회의 긴밀한 연관성을 밝히는 데 도움이 되는 도구이자 전략으로 보전교육(conservation education)이 시작되었다.
1960년대 후반에는 환경문제가 점점 심각해지고 가시화되면서 또 다른 환경교육의 시대가 열리게 되었다.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 출간 등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자연환경에 문제가 생겼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공해교육(pollution education)도 이때 등장하였다.
현재 모습의 환경교육은 트빌리시 선언을 토대로 한다. 1977년 66개국 대표들이 구소련의 트빌리시에 모여 진행한 정부간 회의 결과, 환경교육의 정의, 목적 및 목표에 대한 공식적인 합의를 선언문에 담았다.
이전 국제회의(1972년 스톡홀름 선언 및 1975년 벨그라드 헌장)를 통해 논의 및 확산 되었던 환경교육 목표 선언문을 강화한 것으로,
이후 브룬트란트 위원회(Brundtland Commission, 1987)와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지구정상회의(Earth Summit, 1992)는 이러한 환경교육의 정의와 실천방향을 보다 분명하게 전달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기반하여 환경교육은 자연교육, 야외교육(outdoor education), 보전교육, 공해교육, 도시교육(urban study), 글로벌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다양한 모습을 아우르고 있다.
환경교육의 발달
연도 | 내용 |
---|---|
1968년 |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파리회의(UNESCO Biosphere Reserve Conference) – 환경교육과정, 훈련 및 인식개발 요청 |
1970년 |
UNESCO & IUCN – 환경교육의 초창기 정의 제공 |
1972년 |
스톡홀름 인간환경회의 – UNESCO & UNEP의 환경교육 프로그램 지원 촉발 |
1975년 |
벨그라드 헌장(Belgrade Charter) – 환경교육 목적 제안 |
1977년 |
트빌리시 선언(Tbilisi Declaration) – 첫번째 국제 환경교육회의로 환경교육의 목적과 목표 설정 |
1980년 |
세계보전전략(World Conservation Strategy) – 자연보전을 위한 지속가능한 발전의 중요성 제시 |
1987년 |
모스크바 트빌리시 +10 – 환경교육 진행 상황 평가 기회 제공 |
브룬트란트 보고서(“우리 공동의 미래“) – 지속가능성에 대한 정의 제시 |
|
1992년 |
리우 지구정상회의 –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의제 21(Agenda 21) 제시 |
2002년 |
요하네스버그 정상회의 –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5개의 목표 영역제시(water and sanitation, energy, health and environment, agriculture, biodiversity and ecosystem management) |
2005년 ~ 2014년 |
유엔 지속가능발전교육 10년(Decade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1977년 UNESCO가 주관하고, UNEP가 협력한 정부간 회의의 선언문으로,
66개국에서 온 265명의 대표들은 환경교육의 목적이 다음을 포함하는데 동의하였다.
-
- 세계의 경제적, 사회적, 정치적, 생태적 상호의존성에 대한 인식 증진
- 개인이 환경을 보호하고 개선하는 데 필요한 지식, 가치, 태도, 책임 및 기능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 제공
- 사회가 환경 지향의 새로운 행동 패턴을 만들도록 장려
개인과 사회가 달성해야 할 환경교육의 5가지 주요 목표는 다음과 같다.
- 5가지 주요
목표- 인식 (Awareness)환경 및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및 민감성 구축
- 지식 (Knowledge)환경 및 환경문제에 대한 경험을 쌓고 기본적인 이해 증진
- 태도 (Attitudes)환경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환경 개선에 참여하려는 동기 부여
- 기능 (Skills)환경문제를 식별하고 해결하기 위한 기능 습득
- 참여 (Participation)환경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회 제공